비트 연산자(Bitwise Operators) & (Binary AND) : bit 단위로 and연산을 합니다. | (Binary OR) : bit 단위로 or연산을 합니다. ^ (Binary XOR) : bit 단위로 xor연산을 합니다. ~ (Binary NOT) : bit 단위로 not연산을 합니다.(1의 보수) > (Binary right Shift) : bit 단위로 오른쪽으로 비트단위 밀기 연산을 합니다. 비트 단위로 연산을 수행합니다. 0은 거짓으로 1은 참으로 연산하여 결과를 1과 0으로 반환합니다. "^(xor)"연산은 두개의 값이 다를 때만 참인 연산입니다. " ~(not)" 연산은 1의 보수를 구합니다. 컴퓨터에서는 뺄셈을 2의 보수를 덧셈하여 처리 합니다. ">" 연산은 오른쪽으로 ..
71. I have a friend who is a huge fan of 좋아하는 것. (저는 ____을/를 좋아하는 친구가 한 명 있습니다.) 영어는 뒤에서 수식하는 구조를 많이 활용한다. 'I have a friend who ~' 는 '나는 ~한 친구가 한 명 있다' 는 의미로 뒤에 현재동사가 나오는 경우는 '-s' '-es' 를 붙이는 것을 잊지 않도록한다. (예: I have a friend who likes reading books.) ex) I have a friend who is a huge fan of action movies. (저는 액션영화를 열렬히 좋아하는 친구가 한 명 있습니다.) I have a friend who is a vegetarian. (저는 채식주의자인 친구가 한 명 있..
61. I decided to buy it because ~. (~때문에 그것을 사기로 결정했습니다.) Decide to 는 '~을 하기로 결정하다' 라는 의미로 오픽의 과거경험을 묘사하는 문제에서 자주 활용되는 표현이다. 과거로 사용되어 decided to 로 사용될 때에는 연음 처리되어 /디싸이릿~/과 같이 발음되니 /디싸이디드투/ 와 같이 발음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. ex) I decided to buy it because it looked good. (좋아 보였기 때문에 그것을 사기로 결정했습니다.) I decide to buy it because all the review were positive. (모든 리뷰가 긍정적이었기 때문에/좋았기 때문에 그것을 사기로 결정했습니다.) 62. By th..
51. It was my first time ~. (처음 ~하는 것이었습니다.) 처음 경험에 대한 문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으로 '~first time 동사ing' 'fist time to 동사' 형태로 모두 표현할 수 있다. 'It's my first time taking the OPic test.' '저 오픽 시험 처음 보는 거에요.' 도 가능하다. ex) It was my first time seeing a celebrity (처음으로 유명인을 봤어요.) It was my first time trying Indian food. (처음으로 인도 음식을 먹었어요.) 52. The _____ I usually go to is located in ~. (제가 자주 가는 ___는 ~에 위치해있습니다.) ..
6061. 비트단위로 OR 하여 출력하시오. 입력 3 5 출력 7 (두 정수를 비트단위(bitwise)로 or 계산을 수행한 결과를 10진수로 출력한다.) a,b=map(int,input().split()) print(a|b) 6062. 비트단위로 XOR 하여 출력하시오. 입력 3 5 출력 6 (두 정수를 비트단위(bitwise)로 xor 계산을 수행한 결과를 10진수로 출력한다.) a,b=map(int,input().split()) print(a^b) 6063. 정수 2개 입력받아 큰 값 출력하시오. 입력 123 456 출력 456 a,b=map(int,input().split()) if (a>b): print(a) else: print(b) 모범 답안 a, b = input().split() a = ..
41. I personally prefer. (저는 개인적으로 ~을 선호합니다.) Prefer은 'I prefer A to B' 로 '나는 B보다 A를 선호한다'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. ex) I personally prefer Korean food to Japanese food. (저는 개인적으로 일식보다 한식을 선호해요.) I personally prefer small cars for fuel efficiency. (저는 연료 효율성 때문에 작은 차를 선호합니다.) 42. ~ is the time of year that _____. (-는 _____한 시기이다.) 돌발질문 주제인 날씨와 관련된 질문에 대한 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다. people 대신 most people, most Korean..
6051. 정수 2개 입력받아 비교하시오. 입력 0 1 출력 True (a와 b가 다른 경우 True 를, 그렇지 않은 경우 False 를 출력한다.) a,b=map(int,input().split()) print(a!=b) 6052. 정수 입력받아 참 거짓 평가하시오. 입력 0 출력 False (입력된 값이 0이면 False, 0이 아니면 True 를 출력한다.) a=int(input()) print(bool(a)) bool()은 입력된 식이나 값을 평가해 참 거짓을 출력하는 논리연산자이다. 6053. 참 거짓 바꾸어보시오. 입력 1 출력 False (입력된 정수의 불 값이 False 이면 True, True 이면 False 를 출력한다.) a=bool(int(input())) print(not a) ..
31. Whenever I get stressed out, I usually ~. (스트레스를 받을 때면 저는 주로 ~을 합니다.) '스트레스를 받다'는 'get stressed out' 또는 'be stressed out' 으로 표현 할 수 있다. 또는 'I am under a lot of stress these days.' '요즘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다.' 와 같이도 표현할 수 있다. ex) Whenever I get stressed out, I usually go to the gym and run on the treadmill. (스트레스를 받을 때면 저는 주로 헬스장에 가서 러닝머신에서 뜁니다.) Whenever I get stressed out, I usually go home and sle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